
파크 하얏트부터 피에르 에르메까지, 럭셔리 호스피탈리티 선도 기업 슬롯 다이HDC가 창립 20주년을 맞아 변화하는 슬롯 다이 투자 환경과 향후 성장 전략을 공개했다.
슬롯 다이HDC는 19일 서울 강남구 한국도심공항 소노펠리체에서 '슬롯 다이 투자환경의 변화 및 전망'을 주제로 언론 초청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팬데믹 이후 슬롯 다이 투자 시장의 변화와 함께 슬롯 다이HDC의 지난 20년 성장 스토리 및 미래 비전이 소개됐다.
팬데믹 후 슬롯 다이 투자매력 상승
"대체 투자자산 편입 늘어"
주제 발표를 맡은 JLL(Jones Lang LaSalle) 코리아 슬롯 다이팀의 김민준 이사는 팬데믹 이후 슬롯 다이 투자 환경의 긍정적 변화를 강조했다. 김 이사는 "팬데믹 직후인 2020년부터 2021년에는 슬롯 다이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은 리스크 자산군으로 투자 회피 현상이 강했으나, 2022년 이후에는 슬롯 다이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며 오피스나 리테일 같은 상업용 부동산보다 상대적으로 회복력이 높다는 점이 주목된다."고 말했다.
특히 고급 슬롯 다이과 리조트 부문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는 분석도 제시했다. 김 이사는 "보복 여행 심리와 럭셔리 여행에 대한 수요 증가로 ADR(객실평균판매단가)과 RevPar(1객실당 매출)가 팬데믹 이전보다 높게 형성되어 투자매력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투자 패턴의 변화도 감지된다. 김 이사는 "오피스는 공실 우려가 증가하고, 리테일은 전자상거래 영향 등으로 수익성 리스크가 존재함에 따라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해 슬롯 다이을 대체 투자자산으로 편입하려는 기관과 펀드의 수요가 예전에 비해 상당히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개발 방식에서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신규 개발보다는 기존 오피스, 리테일, 주거 건물을 슬롯 다이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추세다. 김 이사는 "토지 인허가, 건축허가 등 신규 개발의 까다로운 절차를 거칠 필요 없이 기존 건물 활용으로 투자 리스크와 초기 비용을 절감하고 공급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성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파크 하얏트부터 보코까지
20년간 럭셔리 슬롯 다이 시장 개척
슬롯 다이HDC는 2005년 파크 하얏트 서울 개관을 시작으로 국내 럭셔리 및 라이프스타일 슬롯 다이 시장을 개척해 왔다. 파크 하얏트 부산(2013년), 안다즈 서울 강남(2019년), 보코 서울 명동(2024년) 등을 성공적으로 개장 및 운영하며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왔다.
현재 슬롯 다이HDC는 두 개의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이 노원구 광운대역 일대에서 진행하는 4조 5000억원 규모의 '서울원 프로젝트' 내에 메리어트 슬롯 다이을 건립하는 사업과 동대문 두산타워를 새로운 랜드마크로 탄생시킬 컨버전 프로젝트에서 글로벌 최상위 럭셔리 슬롯 다이 브랜드를 도입하고 위탁 운영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피에르 에르메 국내 진출 협의로 F&B 경쟁력 강화
콘텐츠 확대와 고객경험 중심 전략 주력할 것

슬롯 다이HDC는 F&B 경쟁력과 콘텐츠 중심의 사업 확대도 본격화할 예정이다. 세계적인 럭셔리 디저트 브랜드인 피에르 에르메(Pierre Hermé)와의 국내 사업을 현재 협의 중이며, 내년 초 매장 오픈을 목표로 사업화 가능성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피에르 에르메는 프랑스를 대표하는 파티시에 피에르 에르메(Pierre Hermé)가 1997년 설립한 브랜드로, 대표작인 마카롱과 페이스트리, 초콜릿 등이 전 세계 미식가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파리, 도쿄, 런던, 두바이 등 20개국에서 약 100개 매장을 운영 중이며, 포시즌스 리야드(사우디아라비아), 리츠칼튼 교토, 파크 하얏트 니세코(일본) 등 세계 최고급 슬롯 다이들과 협업하며 럭셔리 라이프스타일의 핵심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슬롯 다이HDC 사업개발팀 관계자는 "피에르 에르메는 단순한 디저트 브랜드가 아닌, 슬롯 다이 전반의 미식 경험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다."라며 "현재 사업 구조 및 국내 도입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협의 중이며, 성공적인 론칭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슬롯 다이HDC의 이성용 대표는 향후 20년의 성장 방향을 제시했다. 이 대표는 "지난 20년이 글로벌 브랜드 파트너십 기반의 안정적 성장이었다면, 앞으로의 20년은 콘텐츠 확대와 고객경험 중심의 호스피탈리티 전략이 될 것이다."라며 "슬롯 다이을 단순 숙박이 아닌 복합문화공간으로 확장하는 HDC만의 슬롯 다이 운영 전략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슬롯 다이HDC는 향후 국내 도심, 복합개발지, 주요 관광거점을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슬롯 다이 자산의 개발 및 운영 역량을 고도화해 나갈 방침이다. 포럼에는 경희대 슬롯 다이관광대학 김대관 학장, 한국관광공사 김성은 실장, 딜로이트 컨설팅 및 자산운용사 임원들이 패널로 참여해 변화하는 슬롯 다이 투자 환경과 향후 전망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펼쳤다.